"네가 총대 메라"를 영어로?

▶ take one for the team
2017.10.8
우선 무심코 쓰다 보니 헷갈리는 "메다"와 "매다"의 차이에 대해서 먼저 정리를 해보자. "메다"는 "가방"처럼 어깨에 올려 지는 것에 잘 어울린다. 참고로, 우리말에서는 물건을 어깨에 올리는 것과 머리에 올리는 것도 다른 동사를 써서 세심하게 구별한다. 머리에 올려 지는 것은 "이다"라는 동사가 따로 있다. "봇짐을 머리에 이다"처럼 쓴다. 그럼 "매다"는 자연스럽게 "신발 끈 등을 매다"처럼 묶는 것에 쓰인다는 것은 쉽게 알 수 있다. 이렇게 헷갈리는 두 개를 같이 외우는 것보다 하나를 확실하게 외우면 더 오래 기억하기 좋은 경우가 많다.
그럼 이제 "총대를 메다"에 대해서 알아보자. 물론 총대는 어깨에 올리는 것이므로 동사 "메다"를 쓴다. 우선 "총대를 메다"는 또래들이나 사적인 자리에서 쓰이는 "informal"한 표현이다. "총대를 메다"는 "무리나 또래 집단 등에서 한 사람이 모두가 꺼리는 일을 손해나 위험을 감수하고 나서서 하다"라는 의미이다. 전쟁터에서 제일 위험한 일은 총을 들고 전장에 뛰어드는 일인데 이 위험한 일을 다 같이 하는 게 아니라 한 사람에게 미루는 것을 생각하면 된다. 이것은 일종의 희생인데 다른 표현으로는 "희생양"도 있겠지만, 이 단어는 "총대를 메다"에 비해 너무 무거운 느낌이 든다. "희생양"이라는 게 결국 성서에서 흔히 사람이 지은 죄를 아무 잘못 없는 양을 죽여 신을 향한 재단에 바치는 의식에서 유래한 것이기 때문이다. 영어로 "희생양"은 "scapegoat"라고 한다. 그래서 "희생양이 되다"라고 하면 수동태형으로 "be made the scapegoat"라고 한다.


"총대를 메다"는 어렵고 힘든 일을 혼자 하라는 것이지만, 반드시 "희생양"이 치르는 죽음과 같은 치명적 손해를 암시하는 것은 아니다. 결과가 좋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보면 "총대를 메다"는 "희생양"보다는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와 더 유사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놀라운 것은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는 우리나라와 서양에서 동시에 비슷한 우화로 전해 내려오고 있다. 한자문화권인 우리나라에서는 "묘두현령"(고양이 묘, 머리 두, 걸 현, 방울 령)으로도 알려져 있고, 영어에서는 "bell the cat"이라는 표현으로 남아서 "할 수 있으면 여러 사람에게 좋지만 그 위험을 한 사람이 감수하기에 너무 커서 누구도 선뜻 나설 수 없는 상황"을 가리키며, 이런 면에서 "총대를 메다"와 궤를 같이 한다. 
다시 "총대를 메다"로 돌아와서 이 표현에 가장 잘 어울리는 영어 표현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take one for the team"이다. 여기서 "one"은 막연하게 "꺼려지지만 누군가 해야 할 일"을 가리키고, "team"은 그 희생을 감당할 사람이 속한 또래나 집단을 가리킨다. 그래서 결국 "대를 위해 소를 희생하라"라는 의미로 우리말에서 "총대를 메다"라고 할 상황에서 영어로는 "take one for the team"을 쓰게 된다. 
구글 번역기는 정말 얼토당토 않은 번역을 생산했다.

▶ 수정번역: 내가 총대를 메고 나서기로 결정했다.


▶ "take one for the team" in Media


There’s even a $20 designated driver ticket for those who want to “take one for the team” and pass on the beer and just enjoy the food trucks and tunes.

<Bridgeport Daily Voice, 2017.9.14>

총대를 메고 맥주는 사양하고 푸드 트럭과 음악이나 즐기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서는 20달러 "지정 운전자 쿠폰"도 준다. 
*designated driver: 술자리에서 술을 마시지 않고 술마신 사람들을 집까지 운전해서 바려다 주는 역할을 하는 사람(대중교통이 흔하지 않고 대리운전 문화가 없는 미국에서 음주운전을 피하기 위해 "designated driver"를 지정하고 술을 마시는 관행이 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결이 다르다"를 영어로?

"주상복합 아파트"를 영어로?

"핑크빛 관계"를 영어로?